1. 변경사항 만들기
- Tigers의 members에
Stash추가 tomcats.yaml추가 후 add
team: Tomcats
coach: Apache
2. 아래 명령어로 치워두기
git stash
git stash save와 같음
3. 원하는 시점, 브랜치에서 다시 적용
git stash pop
4. 원하는 것만 stash 해보기
- Leopards의 members에
Stash2추가 - Jaguars의 members에
Stash3추가 - 아래 명령어로
Stash2만 선택하여 스태시
git stash -p
5. 메시지와 함께 스태시
git stash -m 'Add Stash3'
6. 스태시 목록 보기
git stash list
-
리스트상의 번호로
apply,drop,pop가능- ex)
git stash apply stash@{1}
- ex)
Stash 사용법 정리
| 명령어 | 설명 | 비고 |
|---|---|---|
| git stash | 현 작업들 치워두기 | 끝에 save 생략 |
| git stash apply | 치워둔 마지막 항목(번호 없을 시) 적용 | 끝에 번호로 항목 지정 가능 |
| git stash drop | 치워둔 마지막 항목(번호 없을 시) 삭제 | 끝에 번호로 항목 지정 가능 |
| git stash pop | 치워둔 마지막 항목(번호 없을 시) 적용 및 삭제 | apply + drop |
| 💡 git stash branch (브랜치명) | 새 브랜치를 생성하여 pop | 충돌사항이 있는 상황 등에 유용 |
| git stash clear | 치워둔 모든 항목들 비우기 |
소스트리로 해 보기
스태시버튼과치워두기탭 사용